이번 포스트는 골프를 전혀 모르는 분들을 위한 분들을 위한 기초를 배워보는 장이다. 골프에 대한 개념을 간단하게 나마 정립해 보고자 한다.
버디, 이글, 홀인원
골프는 신기하고도 어려운 운동이다.
생각해보라. 골퍼로부터 약 500m 떨어진 지점에 직경 10.8cm의 구멍이 있는데, 다섯 번을 쳐서 그 구멍에 볼을 넣으라 하니 얼마나 괴상한 운동인가.
500m는 까마득한 거리다. 그 중간에는 언덕도 있고 연못도 있으며 모래로 웅덩이를 만들어 놓은 곳도 있다. 그러한 자연지형과 인공물을 헤치며 볼을 날리고 굴리며 정해진 타수 안에 홀인시켜야 하는 경기이니 ‘변수’ 또한 오죽 많을 것인가.
골프를 치면서 수백 미터 거리에 떨어져 있는 그린을 바라보면, 볼을 너댓 번 만에 구멍에 넣는다는 것 자체가 불가사의하게 여겨질 때가 많다.
골프채 또한 아주 기묘하게 생겼다. 막대기 끝에 삼각형 모양의 이상스런 헤드가 달려 있는 아이언 iron도 있고 둥그스런 헤드의 우드wood, 직사각형 모양의 퍼터도 있다. 필드는 보통 약 30만평은 되니 스포츠경기장으로서는 가장 크다. 골프를 누가 발명했는지 모르지만 이 모든 요소들을 기막히게 조합시켜 놓은 셈이다.
버디 birdie란 파보다 1타 적게 친 타수를 말한다. 파3홀에서 2타 만에 홀아웃했거나 파4 홀에서 3타 만에, 파5홀에서 4타 만에 플레이를 끝낸 경우다.
프로들은 버디를 심심찮게 잡지만 아마추어들은 버디야말로 최상의 목표다. 보기 플레이어의 경우 한 라운드(18홀 플레이)에서 버디를 하나라도 잡으면 그야말로 ‘획기적 성취’가 된다. 대부분 골퍼들은 버디 없이 한 라운드를 끝내곤 한다.
이글eagle은 파보다 2타 적은 스코어로 홀아웃한 경우다. 파4 홀에서는 2타 만에, 파5홀에서는 3타 만에 경기를 끝내는 것이다.
프로들은 파5홀에서 이글을 종종 한다. ‘종종’이라고 표현은 했지만 그것은 아마추어에 비해 자주 한다는 뜻일 따름이다. 아마추어는 평생 이글 한번 못해본 골퍼가 대부분이다. 프로들이 파5홀에서 이글을 한다는 것은, 비거리가 아마추어에 비해 훨씬 많이 나기 때문에 파5홀에서 2타 만에 그린에 올려 1퍼트로 끝낼 수도 있다는데 기인한다.
홀인원 hole in one은 단 한 번 쳐서 홀에 볼을 넣는 것을 말한다.
이는 프로 선수나 아마추어 가릴 것 없이 극히 드물다. 아마추어의 홀인원은 ‘평생의 기록’이 된다. 홀인원은 99% 파3홀에서 이루어진다. 파3홀이어야만 거리상으로’ 한 번 쳐서 홀인을 노릴 수 있기 때문이다. 한 통계에 따르면 아마추어가 하나의 파3홀에서 홀인원을 할 수 있는 확률은 약 2만분의 1에 불과하다. 99%의 골퍼가 평생 홀인원을 구경도 못한다고 보면 된다. 그러니 홀인원을 했다고 하면 마음껏 자축하고 진심으로 축하할 일이다.
핸디캡
골퍼들의 대화 속에서는 ‘핸디’ 라는 말이 자주 등장한다. 핸디는 ‘핸디캡handicap’을 줄여 부르는 말로 정확한 용어는 아니지만, 골퍼의 실력을 나타내는 용어이다. 따라서 골프에 문외한이라도 핸디캡이 무엇인지는 알아야 대화를 풀어나갈 수 있다.
골프장의 파가 72라는 것은 이미 얘기했다. 핸디캡은 그 파72에서 골퍼가 평균적으로 더 치는 타수를 뜻한다. 즉 핸디캡이 10인 골퍼는 평균적으로 82타(72+10)를 친다는 뜻이고, 핸디캡이 25인 골퍼는 평균적으로 97타(72+25)를 친다는 의미다. 따라서 18홀 코스에서 매 홀 한 타씩을 더 치는 꼴인 보기 플레이어는, 핸디캡이 18서 평균 90타를 치는 골퍼라 할 수 있다.
싱글 핸디캐퍼
골퍼들 세계에서 핸디캡이 18 이하이면 골프를 괜찮게 치는 사람으로 생각하며, 핸디캡이 10 이하이면 골프를 아주 잘 치는 사람으로 대접한다.
핸디캡이 1~9인 골퍼를 싱글 핸디캡 골퍼 또는 싱글 핸디캐퍼handicapper라고 한다. 싱글 핸디캡이라는 것은 말 그대로 핸디캡이 한 자리 숫자라는 얘기다. 만약 핸디캡이 5라면 평균 77타를 치는 것으로서, 이는 18홀 중 13개 홀에서 파를 잡고 5개 홀에서 보기를 하는 것으로 이해하면 된다.
전체 골퍼 중 싱글 핸디캐퍼는 단 몇 퍼센트에 그친다. 그들은 골프에 빠져 있거나 남다르게 집중적으로 골프를 치는 사람으로 보면 된다. 골프는 아무리 노력해도 마음대로 안 되는 속성이 있기 때문에 핸디캡이 싱글 숫자라면 그 운동신경과 집념을 인정해줄 만하다. 그래서 보통 골퍼들은 80대 스코어만 내도 아주 좋아한다. 허구한 날 90대 스코어에서 맴돌던 골퍼가 어느 날 80대 스코어를 내면 “드디어 80대에 진입했다”며 날듯이 기뻐하는 것도 다 이러한 이유에서다.
골프의 벽
골프에는 ‘100의 벽’, ’90의 벽’, ’80의 벽’ 이라는 게 있다.
비기너(beginner : 초보자)들은 “100만 깨보면 소원이 없겠다”고 하다가도 세월이 지나 그 벽을 깨면 90대에서 80대 진입을 목표로 한다. 80대를 치면 당연히 목표는 70대로 변한다.
그러나 싱글 핸디캡 스코어인 70대 진입은 골퍼 10명 중 9명이 평생 내보지 못하는 스코어로 볼 수 있으므로 스코어가 안 난다고 해서 실망할 필요는 없다.
핸디캡의 개념을 알아두면 설사 골프를 안 치더라도 맞장구는 칠 수 있다. 상담중이거나 거래처 고객과의 대화에서 골프 얘기가 오갈 때 상대가 핸디캡 3이라고 하는데도 “그래요?” 하고 끝낸다면 멋쩍은 자리가 될 수밖에 없다. 상대가 ‘싱글 핸디캐퍼’라 하면 “정말 대단하십니다. 이글도 꽤 많이 하셨겠는데요?” 정도는 맞장구를 치고, 핸디캡이 15라 하면 “주말 골퍼가 80대를 치는 게 어디 쉬운 일입니까?” 정도는 말해야 순조로운 비즈니스를 기약할 수 있는 것이다.
참조 : 골프에 대한 개념 정립하기 1편
답글 남기기